NEWS

보도자료

[전북일보] 김화숙&현대무용단사포 제33회 정기공연 ‘기억 저편_해월리 362’ 새로운 공간과 기억의 여정

작성자
산속등대
작성일
2020-10-07 17:35
조회
25547








현대무용단 사포 제33회 정기공연

'기억 저편_해월리 362' 공연 모습.


'기억 저편_해월리 362' 공연 모습.

1985년 호남 지역에서 창단된 김화숙&현대무용단사포(예술감독 김화숙)는 한국적 정서를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발표하며 무용의 대중화를 위해 힘써왔다. 그동안 다수의 정기·기획·야외공연을 통해 지역예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에 크게 공헌한 바 있다. 사포는 어떤 무대이든 그 공간의 특성에 따라 레퍼토리를 개발한다는 점이 특징인데, 특히 2012년부터 지금까지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며 이어오고 있는 <사포, 말을 걸다> 시리즈는 이 무용단이 추구하는 ‘커뮤니티댄스’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최근 사포무용단은 박진경에서 김남선으로 대표가 바뀌며 새로운 변화를 맞았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공간에 대한 갈구로 이어졌다. 공간 탐색 시리즈의 하나인 <기억 저편_해월리 362> (2020.09.26, 완주 산속등대) 공연이, 폐허였던 제지공장 부지를 지역문화 재생사업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완주 ‘산속등대’ 공간의 새로운 출발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뜻 깊다. ‘버려진 시간 속 새로운 문화를 디자인하다’는 슬로건으로 지난해 5월 문을 연 산속등대는 전시관, 미디어관, 공연장, 체험관, 예술놀이터, 휴식공간을 갖춘 가족 중심형 복합문화공간이다. 옛 공장건물의 골격만 남긴 채 산뜻하게 리뉴얼된 이곳엔 굴뚝을 재생한 지름 3m, 높이 33m의 산속등대가 장쾌하게 서 있다.

바흐, 퍼셀, 카라인드로우, 파가니니, 피아졸라, 비발디, 페르트 등의 음악을 사용한 <기억 저편>(연출·대본:김화숙, 안무:김옥‧박진경‧김남선‧조다수지)은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의 웅장한 음악으로 시작한다. 공연은 저 먼 기억을 찾아오며 시작한 프롤로그에서 바흐의 동일한 음악에 맞춰 기억의 문을 통해 전 출연진이 퇴장하는 에필로그로 종결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 사이를 ‘1.낯선 시간, 2.설렘과 두려움, 3.마주하다, 4.기억의 편린’이라는 네 개의 이미지가 채운다. 프롤로그에서 바람결인 듯 출렁이는 물결인 듯 유연한 움직임으로 다섯 여성 무용수들이 기억 속으로 들어온다. 반대편의 계단 위에는 여섯 명의 무용수들이 목을 돌려 그들의 등장을 기다리고 있다. 조심스럽게 주위를 탐색하기도 하고 달려가며 무언가 찾기도 하며 그들은 낯선 공간에서 묻는다. ‘여기는 어디인가?’, ‘나는 누구인가?’
'기억 저편_해월리 362' 공연 모습.'기억 저편_해월리 362' 공연 모습.

기억은 회상으로 이어지며 그들은 낯선 시간 속에서 지난 감정들을 다시 체험한다. 무대공간은 공장건물들을 철거하고 일부 남겨진 건물 벽과 현대적 건물들로 특이한 분위기를 풍긴다. 그곳은 중앙의 공터, 객석 왼쪽의 출입구와 오른쪽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단 위의 무용수들과 함께 무리를 이룬 군무는 옛 제지공장 노동자들의 애환과 고통을 공감, 표현한다. 팔을 뻗거나 움츠리며 거부와 수용 의사를 드러내기도 하고 자신들의 불안, 이별, 아픔의 안타까움과 열정 등의 다양한 감정이 포개지며 넓은 야외공간을 뛰어다니며 표출한다.

이어서 아이보리색 베일을 두르고 신축건물의 2층 발코니에 나타난 무용수가 희망 섞인 설렘과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동시에 표현하는 동안, 아래 풀밭에서 춤추던 무용수들은 자리 잡고 쉬면서 그녀를 바라본다. 이제까지 춤추던 자가 타자로서 춤추는 자를 관조하고 관찰하는 것이다. 이미지 3에서는 여성무용수가 홀로 등장하여 기억 속을 헤매다가 자신과 똑같은 분신을 만나고 둘은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입과 공감을 때로는 서로 반목하는 교차 감정을 느낀다. 그 도중 제3자 혹은 거울 역의 무용수 등장으로 서로의 모습을 비춰보기도 하며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기억의 편린’에서는 흰 의상의 남자무용수가 아다지오의 조용하고 느린 음악과 함께 등장하여 기억 속에 떠오른 감정의 잔재와 여운을 정리하는 독무를 춘 후 안무자 네 명의 릴레이 즉흥무가 끝나고 에필로그에서 전 출연자가 ‘기억의 문’ 밖으로 퇴장하며 사라진다. 원래 조르바의 댄스에 맞춰 관객들과의 즉흥 춤판이 벌어질 예정이었던 무대인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취소되었다. 사포 무용단이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언제나 마지막에 행하던 단체 즉흥무가 무산되어 아쉬웠다.

딱 짜인 스토리를 따르기보다는 연상과 예감의 이미지 제시로 관객과의 자유로운 소통을 시도한 이번 공연은 야외공연의 특장점을 여실히 드러내주었다. 또한 화려한 무대구성이나 신체 테크닉에 치중하기보다 검정과 회색, 아이보리의 무채색 의상으로 아련한 기억을 재현하며 ‘내면/의식의 흐름’을 상상하고 은유함으로써 관객의 동화와 몰입에 성공한 듯 보였다.

/윤시향 원광대 명예교수


출처: 전북일보


메뉴